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title icon
교육학과와 9급 교육행정직공무원 시험 차이 임용고사를 봐서 가는 것과 공시로 가는 것의 차이가 있나요?
임용고사를 봐서 가는 것과 공시로 가는 것의 차이가 있나요?
학생, 교육학과 졸업 후 임용고사를 통해 교사가 되는 것과 9급 교육행정직 공무원 시험을 통해 공무원이 되는 것은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직무:
임용고사 (교사):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가르치는 교육 활동이 주 업무입니다. 교과 수업, 생활 지도, 학급 관리, 행정 업무 등이 포함됩니다.
9급 교육행정직: 교육청이나 학교에서 행정 업무를 주로 담당합니다. 예산, 회계, 인사, 시설 관리, 민원 처리 등 학교 운영과 교육 정책 지원에 필요한 행정 업무를 수행합니다.
시험 및 전공:
임용고사: 교육학과 졸업 등 교원 자격증 취득이 필수이며, 교육학 및 전공 과목을 깊이 있게 공부해야 합니다.
9급 교육행정직: 교육학을 전공하지 않아도 응시 가능하며, 국어, 영어, 한국사, 교육학개론, 행정법총론(지방직 기준) 등 공무원 시험 과목을 준비해야 합니다.
근무지:
임용고사 (교사): 주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근무합니다.
9급 교육행정직: 교육청, 직속기관, 각급 학교 행정실 등에서 근무합니다.
두 직업 모두 교육 분야에서 일하지만, 그 역할과 필요한 역량, 준비 과정이 상이하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