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일본어 조사 いえに すぐ かえらないで ともだちに あいました집에 바로 돌아가지 않고 친구를 만났습니다이
いえに すぐ かえらないで ともだちに あいました집에 바로 돌아가지 않고 친구를 만났습니다이 문장에서 도모다치 を말고 に를 사용해야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왜냐?
" 한국식 해석 " 으로 일본어 문장을 바라보면,
" 당연히 틀리니깐요 ^^ "
왜?
한국식 해석은,
" 직역 " 으로 가는 경우도 있지만,
" 의역 " 으로 가는 경우 또한 무지 많습니다 ^^
그러니
会う(あう)라는 친구에 한해선
대상의 용법인 に가
직역이 아닌 " 의역 " 으로 쓰이기 때문에
당연히,
" 의역된 한국어 해석 " 을 가지고 일본어 문장으로 만들려고 하면 당연히 미스매치죠 ^^;;
우리는
~에게, ~한테 만나다라는 표현은 어색하고 (직역)
~를, ~을 만나다가 우리한테는 바람직하게 느껴지니깐요 ^^
그러니,
교재에서는 당연히 직역으로 쓰면
뭐여....
우스꽝스럽누....
이러니,
당연히 받아들이기 편하게 의역을 한 것이고
이걸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면 대참사가 난다는 것이죠 ^^:;;
~に 会う(あう)
~に 乗る(のる)
가 기초 레벨에서는,
" 한국식 해석 " 으로 봤을 때 낚이기 좋은 친구들이기 때문에
이걸 귀신같이 JLPT 문제 출제자 (일본인) 들은 알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이걸 한국인 저격 문제로 해서 조사쪽을 혼동을 주는 식으로 물어본다는 것이죠 ^^;;
그러니,
해석보고 일본어 공부하시면 큰일나십니다 ^^;;;
조사는,
" 용법 " 으로 공부하시는 게 좋고,
会う(あう)
乗る(のる)
같은 친구들은,
" 대상 " 을 강제로 가지고 가는 동사들이기 때문에
대상의 용법인 に가 와야하는 것이며(반드시 / 会う는 に、と가 뉘앙스가 다름)
이게,
의역된 해석으로 봤을 땐
を랑 혼동이 된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に会う로 쓰는 경우는
내가 직접 그 사람을 만나러 가는 부분까지 죄다 들어가지만
~と会う로 쓰는 경우는,
단순히 " 그 대상 " 을 만난다는 의미로 쓰기 때문에
조사 하나로 뉘앙스가 바뀐다는 것입니다 ^^
乗る는
오로지 に만 사용하실 수 있구요 ^^
이 또한
~に乗る(~을、~를 타다)로 의역된 해석이 인강이나 자료, 교재에서 흔하게 쓰여지기 때문에
그래서,
해석만 보고 마치 그게 일본어인 것 마냥 생각해서 접근하시면
당연히
이 또한 대참사가 나겠죠~? ^^
그러니
(1) 대상의 용법인 に
(2) ~한테、~에게인 " 직역 " 을 썼을 때, ' 어색 ' 하기 때문에, ~을 / ~를 쪽으로 " 의역 " 을 써야 " 우리한테는 자연스럽다 "
に / を를 혼동하기 딱 좋으며,
이걸 JLPT에서 조사로 꼭 물어본다(N5、N4)
참고로
が를 목적격 조사로 해석하는
な형용사
い형용사
동사
쪽도 비슷한 맥락이기 때문에
이 부분도 해석을 믿어버린다면 당연히 위와 같이 が를 써야하는데
を는 안되나요?
와 같은 " 일본인에게 있어 " 생뚱맞은 질문을 던지겠죠~? ^^
그래서,
해석보고 공부하시면 절대 안된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