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디유 과기원 vs 중앙대 경희대 시립대 부산대 경북대 앞서 질문한바와 같이 저의 진로를 고려할때 지디유의 과기원은 어느정도의 우선순위에
앞서 질문한바와 같이 저의 진로를 고려할때 지디유의 과기원은 어느정도의 우선순위에 둘 학교일까요?(구체적인 순위) + 지디유 중에서는 어느곳이 저의 진로와 가장 적합한지도 궁금합니다
이것저것 찾아보고 있는데, 비교가 조금 애매한 면이 있긴 합니다.
일단 말씀하신 과기원 3곳들 모두 기초물리나 이론물리 분야로는 수행중인 BK21 프로젝트가 없고요. 광주과기원은 기후·환경·에너지 융합테크 교육 연구단, 울산과기원은 차세대 수리과학 인재양성팀, 인공지능중심 건설공학 인재양성팀이라서 학생께서 생각하시는 분야와는 좀 다르다고 보여집니다. 대구경북과기원은 수행중인 BK21이 아예 없고요.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지원금은 재학생 수 대비 꽤 많이 받는 편입니다. 학부생 수 기준으로 보면 광주과기원은 700여명, 울산과기원은 2,000명 약간 넘고, 대구경북과기원은 1,000명 약간 넘습니다.
https://kin-phinf.pstatic.net/20221217_169/1671245871253SpcCb_PNG/1635837597.png
보시면 아시겠지만, 재학생 수 2,000명 약간 넘는 울산과기원의 국가지원금 규모가 중앙대(학부생 수 24,000명 정도. 휴학생은 뺀 값)보다도 큽니다. 재학생 수 700여명 정도인 광주과기원의 국가지원금 수령액이 경희대(휴학생을 뺀 학부생 수 26,000명 정도)의 절반이 넘고요. 대구경북과기원도 학부생 수에 비해 국가지원금을 굉장히 많이 받는 편입니다. 시설/장비/실습환경은 최첨단급이라고 보여지고요.
재학생 수 대비 국가지원금 규모는 광주과기원 > 울산과기원 > 대구경북과기원 순입니다.
세계대학랭킹은 2025 QS기준으로 울산과기원이 280위, 광주과기원이 359위, 대구경북과기원이 326위입니다. 다들 300위 안팎 정도라고 볼 수 있고요. 이 정도면 QS랭킹 기준으론 경희대와 비슷하고, 중앙대/부산대/경북대보단 살짝 높은 편입니다.
광주과기원은 외국 대기업, 연구기관과 협력관계는 많아보이는데, 교환학생 보내주는 곳은 좀 적은 느낌입니다. 광주과기원에선 Student Exchange 가 확실히 교환학생으로 보이고 General 이라는 파트너십 관계는 무엇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https://ipa.gist.ac.kr/ipa/html/sub02/020102.html Asia< Partner Institution <Collaboration
Institution Abbreviation Country Institution Type Partnership Type Website Osaka University OU Japan University General https://www.osaka-u.ac.jp/en United Nations University UNU Japan University General https://unu.edu/ Okayama University OU Japan University General http://www.okayama-u.ac.jp/index...
다만, 광주과기원 학부생 특전으로 이런 게 있다고 합니다.
https://namu.wiki/w/%EA%B4%91%EC%A3%BC%EA%B3%BC%ED%95%99%EA%B8%B0%EC%88%A0%EC%9B%90#s-2.1

광주과학기술원
이 법은 첨단과학기술의 혁신을 선도할 고급과학기술인재를 양성하고 산업계와의 협동연구, 외국과의 교육ㆍ연구 교류, 기
광주과기원의 물리/광과학과 커리큘럼은 아래링크의 대학 교과과정 들어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협력기관으로 엔비디아가 있는데 특이하네요.
https://physics.gist.ac.kr/academic/undergraduate/ 대학 » GIST 물리광과학과
가. 전공선언 시기 : 6월 10일 또는 12월 10일나. 전공선언 절차 : 매 학기 전공선언 공고에 따라 기간 내 온라인 신청 ※통합정보시스템(제우스) '학적-전공선언'다. 전공별 정원 : 전공 선택의 자율성을 존중하여 전공별 인원 제한 없이 운영
울산과기원은 교환학생 보내주는 곳은 큐슈대, 중국과학기술대(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USTC), 중국의 이공계 소수정예대학, 이공계로는 중국 내 5위이내급) 정도가 눈에 띄고, 역시 교환학생 협정체결교가 많진 않았습니다.
울산과기원 물리학과 커리큘럼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physics.unist.ac.kr/undergraduate-curriculum/ Undergraduate Curriculum | Physics | Department of Physics
2025 학번 커리큘럼(Undergraduate Curriculum for Students Admitted in 2025) 2024 학번 커리큘럼(Undergraduate Curriculum for Students Admitted in 2024) 2023 학번 커리큘럼(Undergraduate Curriculum for Students Admitted in 2023) 2022 학번 커리큘럼(Undergraduate Curriculum for Students Admitted in 2022) 2021...
대구경북과기원도 교환학생 보내주는 대학은 많진 않아보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Agreement Unit 의 SEA라고 적힌 부분이 실제로 교환학생을 보내주는 대학 같습니다. 그렇게 보면 다롄이공대(중국 30위이내급), 말라야대(말레이시아의 서울대), 흐로닝언(그로닝겐)대(400년 이상 된 네덜란드 명문대로 세계랭킹 100위 안팎 수준. 영어 유창), 마스트리흐트대(네덜란드), 오사카대 등이 눈에 띕니다. 일본의 RIKEN(이화학연구소)와 MOU 및 교환학생협정을 체결한 게 인상적이네요.
https://www.dgist.ac.kr/eng/sub06_02.do Partnership > Global >
Partnership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Technology
https://namu.wiki/w/%EC%9D%B4%ED%99%94%ED%95%99%EC%97%B0%EA%B5%AC%EC%86%8C

이화학연구소
일본 사이타마현 와코시에 본부를 둔 자연과학종합연구소로 문부과학성 산하의 연구 기관으로 독립행정법인으로 운영
대구경북과기원 물리학 트랙의 커리큘럼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dgist.ac.kr/phy/sub03_02.do Course Tree > Education >
https://namu.wiki/w/%EB%8C%80%EA%B5%AC%EA%B2%BD%EB%B6%81%EA%B3%BC%ED%95%99%EA%B8%B0%EC%88%A0%EC%9B%90#s-5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파일:DGIST_E8_사진공모전2.jp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E8 학술정보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홍보영상 이 법은 첨단
커리큘럼은 3개 과기원 모두 본인께서 직접 비교해보시고 판단하시는 게 맞으실 것 같습니다.
이런 점에서 봤을 때, 교환학생 가는 선택의 폭에서는 과기원들보다 중앙대, 경희대, 부산대, 경북대, 시립대가 더 넓어보입니다. 다만, 과기원이 학생 수 대비 국가지원금을 월등히 많이 받아 시설/장비/실습환경은 전국 최상위급이고요. 그거 외에도 기술특허를 팔아서 매년 100억원 이상씩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제 전문연구요원(석전연) 질문주셨는데, 석전연으로 가기엔 과기원 출신이 좀 유리한 게 있습니다. 석전연 뽑는 회사 입장에서도 TO는 기껏해야 1~2장인데, 가능한 학벌 좋고 실력 있는 사람 뽑으려고 하지, 아무나 뽑진 않거든요. 과기원 들어가서 동대학원으로 들어가도 중앙대 경희대에서 동대학원 가는 것보다 회사에서 이공계 학벌상으론 더 좋게 봐줄 가능성이 높고요. 과기원은 좀 특별한 취급이랄까요.
그리고 학부생 졸업자 수가 적음에도 교수 진출인원이 많은 점도 대학교수가 목표라면 장점으로 보입니다.
https://namu.wiki/w/%EC%9A%B8%EC%82%B0%EA%B3%BC%ED%95%99%EA%B8%B0%EC%88%A0%EC%9B%90#s-13.1

울산과학기술원
파일:UNIST-대표이미지-1.jpg 울산과학기술원 전경 파일:unist rotary.jpg 울산과학기술원 정문 조
https://namu.wiki/w/%EA%B4%91%EC%A3%BC%EA%B3%BC%ED%95%99%EA%B8%B0%EC%88%A0%EC%9B%90#s-9.1

광주과학기술원
이 법은 첨단과학기술의 혁신을 선도할 고급과학기술인재를 양성하고 산업계와의 협동연구, 외국과의 교육ㆍ연구 교류, 기
대국경북과학기술원은 현재 학부출신자 기준 14학번만 3명 교수임용자가 적혀있네요.
1. 광주과기원(앞은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동 신시가지에 뒤쪽에도 광주연구개발특구 신시가지 조성중. 캠퍼스 남쪽경계에서 800m앞에 광주도시철도 2호선 첨단역, 광주과학기술원역 각각 공사중. 2030년 개통예정으로 지하철-시내버스 무료환승 가능)
2. 대구경북과기원(뒤는 산이지만 캠퍼스 앞이 유가읍+현풍읍 시가지. 웬만한 중소도시 시내(xx동)지역 정도의 배후인구규모로 그럭저럭 있을 건 다 있음.)
3. 울산과기원(주변이 시골임. 그나마 위치가 울산 본시가지 - KTX울산역 중간이라 24번국도로 좀만 나가면 시내버스는 자주 다님) 순으로 봅니다.
본인 인생목표에서 무엇을 더 중시하냐에 따라 다르다고 보는데, 해외교환학생을 여기저기 골라서 가보고 싶고, 서울생활을 더 중시한다면 중앙대나 경희대를 고르겠고요. 최첨단 실습장비/시설, 석전연 및 대학교수 라는 목표를 더 중시하신다면 과기원을 고를 것 같습니다. 저라면 학생분의 인생목표가 연구원이시니, 연구자 양성 본연의 임무에 특화돼있는 과기원 쪽에 약간 더 손을 들어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