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급수의 성질은 왜 수렴하는 급수에만 성립하나요? 급수의 성질은 수렴하는 급수에 대해서만 성립하는 것으로 단서가 붙어있습니다.이걸 수열의

급수의 성질은 수렴하는 급수에 대해서만 성립하는 것으로 단서가 붙어있습니다.이걸 수열의 극한의 기본 성질로 설명하는 거? 좋습니다. 그런데 제가 궁금한 것은..가령 시그마(a+b)라는 급수가 있을 때 이걸 쭉 열거하면(a1+b1) + (a2+b2) + ...... + (an+bn) + ......잖아요.그럼 a는 a끼리 b는 b끼리 묶을 경우 구태여 수렴하는 급수가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시그마a + 시그마b로 분리할 수 있는 거 아닐까요?마찬가지로 시그마ka도 열거해보면(k는 상수)ka1 + ka2 + ...... + kan +....이므로 k로 묶어내면,k(a1 + a2 + ...... + an + ......) = k 곱하기 시그마a가 될 수 있는게 아닌가.. 하는 거죠..물론 저보다 똑똑한 분들께서 연구해보니 수렴할 때만 저 성질이 성립한다고 결론을 냈기 때문이겠으나.. 직관적으로 도저히 받아들여지지가 않아서 질문드려요.
급수의 성질같은 경우에는 수렴하지않는 급수에 활용한다면 어떻게 되는지 알수없기때문에 수렴하는급수인 경우에만 성립하며 수렴하지않는 급수에는 사용할수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하기